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1

블록체인(blockchain)이란?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예 블록체인의 가능성은 무궁무진하지만, 추측이 불가능할 정도는 아닙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비트코인에 사용되는 블록체인 이외에 실제 어떻게 블록체인이 사용되었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지금까지 항상 도난당한 다이아몬드를 추적하거나 다이아몬드가 분쟁지역에 관련되어 있는지는 알기 위한 기술에 관심을 가져왔습니다. 스타트업 기업인 "Everledger"는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해서 100만 개의 다이아몬드 정보를 저장했습니다. 현재는 다이아몬드 뿐만 아니라 예술품, 의류, 배터리, 명품, 와인 등 여러 가지 상품에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고 있습니다. 에버리져는 하나의 다이아몬드를 40가지 독특한 시점에서 스캔해서 정보를 얻은 다음 이를 응축해서 디지털 자료로 만듭니다. 그런 다음 이를 블록체인에 저장합니다.. 2021. 3. 30.
블록체인(blockchain)이란? 블록체인이 가능하게 할 기회들 블록체인의 기원에 대해서 저번 포스팅에서 다뤘습니다. 이 분산된 원장(distributed ledger)은 변경할 수 없는 거래를 지원합니다. 비트코인과 같은 가상화폐가 이동할 때, 중앙 권한을 요구하지 않고 이동이 가능합니다. 이러한 이동은 안전하고 마찰 없고 또한, 반박의 여지가 없이 오직 일반 이용자들에 의해 변경이 가능하다. 확장하게 생각해 보면, 전 범위 내의 금융 거래가 블록 체인안에서 가능합니다. 비트코인과 같은 자산 거래인 주식 거래, 채권 거래, 그리고 다른 금융 자산의 거래가 이런 방법으로 관리 혹은 이용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금융 기관은 블록체인에 주목하고 있고, 다양하게 블록체인을 이용해서 시험하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배경 지식을 바탕으로 블록체인의 이점을 활용해 .. 2021. 3. 30.
블록체인(blockchain)이란? 비트코인에서 비롯된 블록체인의 탄생 앞서 탈중앙화 되고 분산된 데이터베이스인 블록체인이 왜 앞으로 제4차 산업을 이끌지에 대해서 알아봤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블록체인 탄생에 대해서 다뤄 보겠습니다. 블록체인이 새로운 가상화폐를 지원하기 위한 기본적인 메커니즘에서 생겨났다는 사실은 우리가 이 기술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인터넷에서 새롭게 개인 간의 전자 화폐 교환을 하는 용도인 비트코인이 처음으로 언급된 것은 2008년 사토시 나카모토(Satoshi Nakamoto)에 의해 써진 논문에서였습니다. 현재 이 이름은 실존하는 사람의 이름이 아니라고 알려져 있습니다. 추측하기로는 어떤 그룹의 집필자들이 필명으로 사용했다는 설이 있지만, 정확한 것은 아닙니다. 누가 비트코인을 만들어 냈는지에 대한 의문은 2009년 비트코인이 출현하고.. 2021. 3. 28.
블록체인(Blockchain)이란? 블록체인이 해결할 수 있는 문제들 전통적인 데이터베이스의 특징에 대해서 앞서 살펴봤습니다. 일반적으로 데이터(제 포스팅에서 데이터를 정보라고 표현하기도 했습니다.)를 중앙의 통제하에 운영하는 형태였습니다. 예를 들면, 데이터베이스의 권한이 그 데이터를 만들어낸 기관에게 귀속된다고 할 수 있죠. 그렇기 때문에 그들은 누가 그 정보에 접근할 수 있고 어떤 형태의 접근을 허가할지에 대해 결정할 수 있습니다. 또한, 어떤 정보로 저장할지 혹은 제거할지 그리고 장기적으로 보관할지에 대해서도 결정합니다. 그러나 여기에는 적어도 두 가지 근본적인 결함이 존재합니다. 첫째로, 시스템이 중앙 데이터베이스에 존재하게 된다면, 단일 지점 고장의 결과를 초래 할 수 있습니다. 다른 말로 표현하자면, 중앙 권한이 손상되거나 접근 방법이 노출되었을 때, 이 데이.. 2021. 3. 27.
블록체인(Blockchain)이란? 전통적인 데이터베이스의 재고(Rethink) 비트코인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블록체인을 이해하려고 하면, 가장 먼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기초에 대해서 살펴봐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데이터베이스라고 한다면,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불러오는 장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구조적으로 저장할 수도 혹은 그렇지 않은 방법으로 보관할 수도 있습니다. 그럼 구조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에 대해서 먼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예를 들어, 개인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고 한다면, 아마도 이름이나 전화번호 등을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을 겁니다. 데이터에서 이름과 연락처를 찾기 위해서 어떠한 입력값을 입력해서 정확한 자료를 찾을 수 있을 겁니다. 코딩이라고 할 수도 있겠죠. 잘 디자인된 데이터베이스는 아주 효과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2021. 3. 26.
블록체인(Blockchain)이란? 인터넷의 리스크와 보안문제 지루할 수 있지만, 블록체인 전반에 대해 이해하려면 블록체인이 이용되고 있는 가상세계 즉 인터넷에 대해서 들여다봐야 합니다. 인터넷을 사용하면서부터 우리는 이전과는 전혀 다른 세상에 살고 있습니다. 여전히 세계 모든 사람들이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것은 아니지만, 인터넷의 영향력은 인터넷을 사용하지 않는 사람들에게도 적용되고 있습니다. 인터넷은 우리가 일할 때, 공부할 때, 소통할 때뿐만 아니라, 노는 행동에 까지 영향을 줍니다. 특히, 뉴스나 온라인 쇼핑에 두각을 나타내며, 더 나아가 돈을 관리하거나 소셜미디어 혹은 온라인 데이팅에 사용되기도 합니다. 인터넷 중독이라는 말을 쉽게 들을 수 있고, 경험하는 것처럼 인터넷은 우리 생활에 밀착되어 있습니다. 저렴한 커뮤니케이션 수단, 손쉬운 국제 비즈니스 .. 2021. 3. 25.
블록체인(Blockchain)이란? 2017년 "비트코인"이 소위 말하는 떡상을 하면서 처음 알게 된 단어인 블록체인, 하지만, 막상 끝물에 들어가 물린 뒤에 그냥 잊혔었는데, 최근 다시 많은 이들의 입에 오르내리며, 비트코인 그리고, 그 외의 가상화폐에 관심이 점점 더 높아지고 있습니다. 2020년 코로나 바이러스가 터지기 전에 조금 매수해 두엇 던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떡상하면서, 다시금 가상화폐에 관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가상화폐는 아직도 좋지 않은 시선을 받고 있지만, 그 속에는 제4차 산업의 핵심 기술인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트렌드에 뒤처지지 않으려면 그리고 미래 가치를 알기 위해서는 블록체인 기술에 대해서 알아야 합니다. 2017년에 블록체인에 기반을 둔 가상화폐 투자를 시작했지만, 아직도 누군가" 블록체.. 2021. 3.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