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록체인

블록체인(Blockchain)이란? 전통적인 데이터베이스의 재고(Rethink)

by 코리안제이 2021. 3. 26.

비트코인을 사용할 수 있게 하는 블록체인을 이해하려고 하면, 가장 먼저 데이터베이스에 대한 기초에 대해서 살펴봐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데이터베이스라고 한다면,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불러오는 장소라고 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에 데이터를 구조적으로 저장할 수도 혹은 그렇지 않은 방법으로 보관할 수도 있습니다. 

 

그럼 구조적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것에 대해서 먼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예를 들어, 개인 정보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고 한다면, 아마도 이름이나 전화번호 등을 데이터로 저장할 수 있을 겁니다. 데이터에서 이름과 연락처를 찾기 위해서 어떠한 입력값을 입력해서 정확한 자료를 찾을 수 있을 겁니다. 코딩이라고 할 수도 있겠죠. 잘 디자인된 데이터베이스는 아주 효과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고 수많은 데이터 안에서 올바른 데이터를 짧은 시간 안에 불러낼 수 있을 겁니다. 

 

전통적인 방식의 데이터베이스는 자료를 체계적이고 구조적으로 저장하는 방식을 따릅니다. 예를 들면 줄과 열처럼, 같은 줄에 이름과 연락처를 저장하고 각각의 데이터를 열을 맞춰서 저장 하는 것이죠. 

 

요즘은 찾아 보기 어렵지만, 전화번호 책을 연상한다면 어떤 느낌인지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스프레트 시트에 나열된 정보라고 생각할 수도 있겠네요. 

 

기술적으로, 이는 데이터베이스 표라고 할 수 있고, 이 표에 저장된 Entry는 다른 표나 데이터베이스에 호환되기도 합니다. 이러한 정보 데이터베이스를 가진다는 것은 아주 강력한 수단을 가지게 되는 것으로 중복된 정보를 줄일 수도 있고 가지고 있는 데이터를 활용해서 필요할 때마다 불러내서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집니다. 한번 저장되어 있다면, 새롭게 만들 필요가 없다는 것이죠. 수정하기도 쉽습니다. 

 

청구서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예를 들어보면, 같은 사람에게 청구서를 발급할 때, 저장되어 있는 세부정보를 불러와 변화된 내용만 수정하면 처음부터 청구서를 만들어야 하는 수고를 덜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데이터베이스가 없다면 일일이 처음부터 다 작성해야 되는 작업인 것이죠. 생각해 보세요. 만약 10장 내외의 청구서를 발급한다며, 데이터베이스가 없더라도 힘든 일이 아니겠지만, 수백수천 개의 청구서를 발급해야 된다면 그 이야기는 달라지겠죠?

 

그럼 이번엔, 구조적이지 않은 데이터베이스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간단히 말해 지금까지 다뤘던 구조적 데이터베이스와는 정반대가 되겠죠. 놀랍게도 대부분의 인터넷 데이터는 구조적이지 않은 형태를 띄고 있습니다. 어떤 이들은 80% 데이터가 정제되어 있지 않고 소셜미디어, 이메일, 혹은 온라인 자료로 축척되고 저장된다고 합니다. 예를 들어 페이스북에서는 글자 수와 상관없는 정보와 글자 이외에도 사진 혹은 음악과 같은 데이터를 저장합나다. 다행히도, 이런 사이트들은 나름의 방법으로 구조적이지 않은 데이터를 저장하고 이용하고 있습니다.

 

구조적이거나 그렇지 않은 데이터베이스를 기초로 다양한 비즈니스가 인터넷을 통해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예를 들면, 아마존, 구글 혹은 페이스북 뿐만 아니라 인터넷 뱅킹도 해당합니다. 

 

그렇다면, 이러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하거나 보안에 대해서는 어떨까요?

 

일반적으로 데이터베이스는 서비스 제공업체의 서버 컴퓨터에 자리잡고 있습니다. 

 

중앙에서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여러 이용자들이 접근하고 이용하게 되는 것이죠. 이 이용자들은 제각각 허용된 정보가 다를 수 있고 제한을 가질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이용자 권한은 누군가가 허용해줘야 되는데 이런 권한을 가진 사람 혹은 기관이 데이터를 관리하는 것을 중앙 집권식 데이터베이스라고 칭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형태의 문제점이 있는데, 예를 들면, 정보에 접근 허가를 받지 않은 이용자가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다는 점이고, 또한 어떤 이용자가 보안체계를 우회에서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도 있습니다. 전통적인 방식의 데이터베이스는 지금까지 기관에 잘 적용되어 사용되어 왔고 세계 경제에 수많은 가치를 제공했습니다. 하지만, 앞서 언급했던 것처럼 그 한계와 문제점은 계속해서 생겨나고 점점 더 해결하기 힘들어지고 있습니다. 

 

이에 탈중앙집권식 데이터베이스가 해결책으로 제시되고 있고, 새로운 형태의 데이터베이스인 블록체인으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되고 있습니다. 

 

댓글